나홍진 감독의 2016년작 『곡성』은 전대미문의 연쇄 살인과 병마가 퍼진 농촌 마을을 배경으로, 인간이 감당하기 어려운 공포와 미스터리를 촘촘히 펼치는 작품이다. 곽도원, 황정민, 천우희, 쿠니무라 준 등 배우들의 압도적인 연기와 시각적 긴장감, 일본 기이한 기도의식이 결합된 이 영화는 한국 스릴러의 경계를 확장하며 끝내 종교와 미신, 인류의 어두운 면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줄거리
전북의 작은 농촌 ‘곡성’ 마을에 외국인 ‘일본인 남자’를 자칭하는 의문의 존재가 이사 오고, 이튿날 주민들이 연쇄적으로 의문의 병에 걸리거나 돌연사하게 된다. 곡성서 강 경찰(곽도원)은 병원에 입원한 시골 주민들을 의심하며, 여성 순례자인 일명 ‘저승사자’의 등장과 기이한 의식이 그려진다. 피해자가 죽음 직전 풀숲에서 몸을 떨며 서 있는 장면이 반복되고, 들리는 이상한 목소리 혹은 북소리는 마치 초자연적 존재의 도래를 알리는 듯하다. 이 과정에서 아내가 병에 걸리고 딸들도 피해를 받으며 곽도원의 고뇌는 깊어진다. 강은 진실을 찾기 위해 도쿄에서 온 종교연구자 이수진(천우희)과 경찰 내 선임 한일섭(황정민)의 도움을 받으며 사건에 접근한다. 하지만 파고들수록 기이하고 예측 불가능한 사건의 본질은 더욱 흐릿해지고, 그 와중 기도, 의식, 미신, 종교적 복합성이 농촌의 조용하지만 깊은 공포를 구성한다. 영화는 점점 극한의 공포로 치닫으며, 실제 장면인지 환상인지 분간 어려운 몽환적 연출과 소리 연출로 관객의 감각을 교란한다. 곡성서에서 벌어진 연쇄 비극은 결국 인간과 종교, 타자에 대한 근본적 두려움을 모호하게 드러내며, 영화는 여운 속에 공포의 원형을 관객에게 묻는다.
등장인물
강 강형사(곽도원): 실증주의적 이성과 경험을 지닌 경찰이지만, 연속된 죽음 앞에서 점차 혼란에 빠지고, 미신과 종교, 환상 사이에서 고통한다. 곽도원은 그의 고통과 긴장의 깊이를 잔잔한 눈빛과 쉼 없는 떨림으로 표현했다. 한일섭 경감(황정민): 의 상사이자 경험 많은 경찰로, 논리와 직감 사이의 균형을 맞추려 노력하지만, 초래되는 사건에 압도된다. 황정민은 단단하지만 무언가 숨기고 있는 듯한 인물의 복합성을 잘 살렸다. 이수진(천우희): 종교학도를 자처하는 여자로, 곡성서의 이상한 기도와 의식에 대해 조사한다. 그녀는 마치 ‘예언자’ 같은 존재로, 진실을 파헤치지만 동시에 전달할 수 없는 음험한 메시지를 지녔다. ‘일본인 남자’(쿠니무라 준):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마을에 혐오와 미스터리를 부채질하는 존재. 그는 직접적인 악귀라기보다, 인간의 두려움을 상징하며, ‘타자’에 대한 공포를 극대화하는 인물로 작용한다. 조연으로는 병원 의사, 마을 주민들, 사제, 스님 등 각자의 믿음으로 해석을 시도하지만 결국 불확실성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곡성의 시골 풍경 속에서 집단적 두려움과 의심을 증폭시키는 존재로 기능한다.
감상평
『곡성』은 호러가 아닌, 공포의 원형을 마주하게 하는 심리 스릴러다. 외형적 공포 요소보다도 ‘믿음’, ‘타자’, ‘종교’, ‘미신’에 대한 인간의 근본적 불안과 불신을 통해 진정한 공포를 구축한다. 영화는 흔한 귀신이나 괴물보다, 우리 안에 내재한 심리적 두려움을 더욱 날카롭게 드러낸다. 강형사의 시선은 처음엔 합리와 이성에 기대지만, 사건이 반복될수록 그는 점차 괴물 같은 존재가 될 수 있다는 인간의 그림자를 마주하게 된다. 이 변화의 과정은 곽도원의 섬세한 내면 연기와 무기력한 고통으로 관객을 몰입하게 한다. 한일섭 경감은 전사처럼 보이나, 황정민의 묵직한 존재감은 영화 후반부에서 사건의 심연이 어떻게 파멸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천우희의 이수진은 영화 중 예사롭지 않은 장면마다 ‘미끼’처럼 놓여 있다. 그녀는 진실을 가져오지만, 동시에 전달하지 못하는 메시지를 지닌 인물이다. 그 예민함과 두려움 사이의 균형을 그녀는 절묘하게 표현하며, ‘진실’이 무엇인지 질문하게 만든다. 일본인 남자는 직접적인 설명 없이 오히려 더 두려움을 자아낸다. 그가 건네는 이름조차 없는 기도는 말보다 더 강력한 위협이 되어, 우리 마음 깊숙이 박힌 불안의 씨앗을 흔든다. 마치 물에 떨어진 돌처럼 말이다. 연출은 긴 호흡 속에서 심리적 압박을 쌓으며, 대사보다 영상과 소리로 공포를 드러낸다. 풀숲이나 기도 구호, 무의미한 장치들이 동시에 화면에 놓이면서, 곡성의 공기는 더욱 무겁고 밀도 있게 느껴진다. 기억에 남는 장면은 강형사가 울음 섞인 한숨을 내뱉는 클로즈업, 그리고 풀숲에서의 이상한 정지 화면이 펼쳐지는 순간이다. 이 장면들은 분명 현실이 아니지만, 관객의 내면 깊은 곳의 원형적 두려움을 환기시킨다. 『곡성』은 공포 그 이상을 의미한다. 그것은 우리가 스스로 만들고, 믿고, 두려워하는 모든 것들—이념, 종교, 타자, 미신—이 하나로 합쳐져 발현한 것일 수 있다. 영화가 끝난 뒤에도 그 울림은 사라지지 않는다. 우리는 과연 무엇을 믿고 있는가, 무엇을 두려워하는가? 이 질문은 곡성의 밤처럼 길고, 어둡고, 깊다.